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트럼프 복귀 이후의 미중 관계 변화(미중관계2025, 트럼프관세정책, 기술전쟁)

by modie 2025. 4. 23.
반응형

 

2025년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과 함께 미중 관계가 다시 긴장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고율 관세의 부활, 반도체·AI·배터리 등 전략기술 통제 강화, 디커플링(탈중국화) 정책은 양국 간 무역과 기술 패권 경쟁을 다시 격화시키고 있다. 트럼프 2기 시대의 미중 관계 변화를 분석한다.

 

1. 고율 관세 부활: 미중 무역전쟁 2라운드 개막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재임 시작과 동시에 중국산 제품에 대한 고율 관세를 부활시켰다.
2025년 2월,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중국산 전기차, 배터리, 반도체, 의료기기 등에 대해 최대 25~35%의 추가 관세 부과를 결정했으며, 기존 트럼프 1기 시절의 3,700억 달러 규모 관세 조치도 전면 재시행에 들어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은 미국을 착취해왔으며, 강력한 조치 없이는 공정한 경쟁이 불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이 보조금과 지식재산권 침해, 기술 탈취를 통해 미국 산업을 위협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관세는 단순한 경제 정책이 아닌 국가안보 수단이라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강한 반발과 보복 조치를 예고했다.
중국 상무부는 일부 미국산 농산물과 항공기 부품에 대해 상응하는 관세 인상을 검토 중이며, 미국 기업에 대한 규제 강화 및 비공식 불매운동 재개도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세계무역기구(WTO)는 이번 조치를 두고 양국 모두에 자제를 촉구했으며, 글로벌 공급망에도 다시금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2. 기술 전쟁 재점화: 반도체·AI·배터리 핵심 산업 전면 봉쇄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에 대한 기술 수출 제한과 전략기술 봉쇄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2025년 3월, 상무부는 AI 칩, 고성능 반도체, 첨단 배터리 기술에 대한 대중국 수출 통제를 확대하고, 중국 기업들과의 공동 연구 및 기술 이전을 사실상 금지하는 행정명령을 발효했다.

이는 1기 트럼프 행정부 당시 화웨이, ZTE 등 중국 IT 기업을 블랙리스트에 올렸던 조치의 연장선이며, 이번에는 AI 스타트업, 양자컴퓨팅, 그린테크 분야까지 범위를 넓혀 기술 디커플링을 가속화하고 있다.

또한, 미국 내 반도체 생산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CHIP 2.0 법안’**을 의회에 제출하여, 중국과 협력하는 해외 기업은 미국 보조금 지원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규정했다.

중국은 이에 대응해 자국 반도체 기술 자립 강화, 희토류 수출 제한 검토, 미국 기술 의존도 축소 전략을 추진 중이다.
양국의 기술 전쟁은 공급망 분리와 비용 상승, 글로벌 혁신 둔화라는 부작용을 낳고 있으며, 일부 중립 국가들은 미·중 사이에서 정책 선택을 강요받는 부담을 안고 있다.

 

3. 디커플링과 지정학적 긴장: 동맹 강화 vs 중국 포위망

트럼프 대통령은 미중 관계를 **"경제 전쟁이자, 문명 간 경쟁"**으로 규정하며 디커플링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그는 2025년 4월, **‘중국 제조 전환법(Made in USA Act)’**을 추진하며 중국산 부품·소재 의존도가 높은 산업에 리쇼어링(Reshoring)을 유도하고 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일본, 한국, 대만, 유럽 등 주요 동맹국들에게도 “대중 기술·무역 차단에 동참할 것”을 압박하고 있으며, 일부 국가들은 반도체·배터리 분야에서 미국 중심의 공급망 협정에 참여하고 있다.

그러나 동맹국들의 반응은 엇갈린다.

  • 유럽연합은 **“자율성과 경제 주권이 훼손될 수 있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 한국·대만은 경제 의존도와 지정학적 리스크 사이에서 줄타기 외교를 펼치는 중이다.

미국 내 산업계와 소비자들도 가격 상승, 공급 불안정, 중국 보복 가능성 등을 우려하고 있으며, 일부 전문가들은 **“무리한 디커플링은 미국에도 부메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결론: 경쟁에서 충돌로, 미중 관계의 중대한 전환점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출범은 미중 관계에 있어 ‘경쟁’에서 ‘충돌’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그는 강경한 경제·기술·외교적 조치를 통해 중국을 견제하고 있지만, 그만큼 국내외 정치·경제적 리스크도 커지고 있다.

미중 관계는 이제 단순한 무역 갈등을 넘어서, 기술 패권과 글로벌 리더십을 놓고 벌이는 전략적 대결의 중심에 있다.
트럼프의 노선은 결정적 변화를 촉진할 수 있는 동시에, 장기적 불확실성과 불안을 확대할 가능성도 내포하고 있다.

앞으로 세계는 ‘탈중국화’와 ‘미중 협력’ 사이에서 현실적인 선택을 요구받을 것이다.
그리고 미국 역시 그 선택의 결과를 감당해야 할 시점에 서 있다.

반응형